안녕하세요 여러분, 오늘도 효호맘💕입니다.
오늘 정말 정말 오랜만에 화창한 날씨를 볼 수 있었죠?
오랜만에 뜨는 햇님에 하루시작을 매우 행복하게 했지만
잠깐 외출한 사이 온몸에 타버릴 것 같은 더위에 아아 수혈을 급하게 해 주고 돌아왔네요🥤
그런데 7월 재산세를 납부하고 아이스 아메리카노 쿠폰을 받을 방법이 있다면 여러분 어떠실까요?
재산세 효율적으로 아끼는 방법
자세히 안내해 드릴게요🤗
7월 16일부터 시작된 재산세 납부가 시작된 것 고지서를 받으신 분들 알고 계시죠?
7월과 9월은 주택, 건축물을 보유하고 있는 세금 납부의 달이죠.
납부기간은 2023.7.16 (일)부터 7. 31 (월)까지이며,
재산세 기준 20만 원 이하는 7월에 전액 납부를 하며,
20만원 이상의 재산세를 납부할 경우, 7월 9월에 반반 나누어서 분할납부하게 됩니다.
보통 집으로 날아오는 고지세를 받으시면 세금을 내야 할 은행명과 계좌번호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죠.
그럼 적혀있는 대로 편하신 폰뱅킹이나 인터넷뱅킹, 은행 납부로 진행을 하실 텐데요.
이 방법보다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해요.
바로 재산세를 신용카드로 납부하는 방법이에요.
종합소득세와 다르게 재산세는 신용카드로 결제를 하게 되어도
카드 수수료를 내지 않는다는 사실!
그렇다면 왜 계좌이체보다 카드로 결제하는 것이 용이할까요?
바로 카드사에서 재산세 납부를 카드로 결제를 하게 만들기 위한 혜택들이 있다는 사실!
지방세를 일시불로 납부할 경우 카드종류에 따라 조금씩 상이할 수 있지만
롯데카드, 우리카드, 신한체크카드, 국민카드에서 받을 수 있는 혜택이 가장 좋더라고요.
- 사용하는 카드의 포인트가 있다면 카드포인트로 결제 가능
- 롯데카드 : Tall사이즈 기준 4500원의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2잔 증정
- 신한 개인체크카드 : 납부금액 0.17% 현금 캐시백
- KB카드 : KB pay 세금 납부 시 1500 포인트리 (최대 3500 포인트)
그리고 KB 직장인보너스체크카드를 통해 결제할 경우 7천 원 환급할인 - 카카오페이 : 추첨을 통해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Tall , 백화점상품권 페이포인트 100만 원 등
카카오페이 결제로 자동응모 진행
등의 방법이 있으니 현금으로 내야 될 이유가 전혀 없는 거 맞겠죠?
🚫다만 반드시 주의하셔야 할 점 1가지🚫
해당 카드사홈페이지를 통해 꼭 응모하기 버튼을 눌러 응모한 뒤 납부하기
해당 혜택들은 그냥 카드로 낸다고 절대 되돌려주지 않아요.
꼭 응모하기 버튼으로 응모를 진행한 뒤에 결제를 하셔야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,
해당 혜택들은 전 카드사 모두 응모한 사람에게만 혜택을 준다고 하니
조금 귀찮더라고 꼭 응모하기 버튼을 눌러서 납부를 진행하도록 해요🤓
특히 여행을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가지고 계시는 항공사 카드!
이 카드를 살펴보시면 국세 부분을 카드 결제 시 소소하지만 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할 수 있어요.
그렇기 때문에 본인이 가지고 있는 카드의 혜택을 확인하시고 지방세를 납부하셔서,
필요한 혜택을 체크하여 적립받으시는 방법을 꼭 추천드립니다.
그리고 청구서부터 결제까지 한번에 가능한 방법 하나 더 !
카카오페이를 통해 청구서도 받을 수 있고 카메라 어플을 켜고 QR코드에
가져다대기만 하면 카카오페이 자동 납부까지 가능해요.
마지막으로 각 가정의 가계 경제관리를 한 사람이 하시는 경우 많으시죠?
배우자나 가족의 세금 또한 납부번호만 알고 있다면
카드로텍스 메뉴 중 자진납부를 통해 간편하게 납부가 가능하다는 점도 꼭 알고 계셔야겠습니다.
그럼 재산세의 달 7월을 맞아 똑똑하게 재산세 납부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어요.
세금을 낼 때는 꼭 현명한 결제를 확인하여 다양한 혜택까지 꼭 챙기도록 해볼까요?
이제까지 재산세 아끼는 방법과 카드혜택을 알려드린 효호맘❤️이였습니다.
다음 포스팅에서 만나요🤗
'유용한정보 > 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여름철 초파리 없애는 방법과 초파리가 싫어하는 냄새 알아보기 (6) | 2023.07.22 |
---|---|
모르고 버렸다간 과태료 10만원! 7월부터 바뀐 쓰레기배출방법 (28) | 2023.07.21 |
ATM 무통장 입출금 한도, 2023년 7월 변경 사항 알아보기 (0) | 2023.07.17 |
집안이 꿉꿉할 때, 집안 습기 없애는 방법 (4) | 2023.07.16 |
기립성저혈압 실신으로 응급실 다녀온 후기, 실신 증상, 119, 분당서울대병원 응급실 후기 (0) | 2023.07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