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. 오늘은 사회적으로 이슈 되고 있는 순살아파트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.
순살아파트란 철근을 빼먹고 규정 이하의 비율로 건물을 짓다가 사고가 난 아파트를 뼈를 바른 치킨에 비유한 말인데요.
순살아파트로 전락해 버리긴 했으나 건축요법 중 무량판구조의 아파트를 칭하는 말이기도 합니다.
그럼 우리 아파트도 순살아파트, 무량판구조의 아파트인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지금 알아볼게요.
무량판 구조란?
우리나라 건축 구조방식은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. 기둥 없이 벽이 천장을 받치는 벽식구조와 수평 기둥인 보와 기둥이 천장을 받치는 기둥식 구조, 보가 없이 천장과 기둥으로 중심을 버티는 무량판 구조로 나눌 수 있어요.
이 중 무량판 구조는 건물의 하중을 수직기둥이 아닌 수평 바닥판에 전달하는 혁신적인 건축구조인데요. 이 방식은 보를 사용하지 않아도 건물을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하죠.
여기서 보는 기둥과 기둥 사이를 가로로 지탱해 주는 건축 부재를 뜻하며 종류는 다양한 것을 볼 수 있죠. 이 무량판 구조는 이 보를 사용하지 않아 건물을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해주는 구조입니다.
이전에는 주로 교량 건설에 사용되었지만, 최근에는 주거용 건물에 많이 적용되고 있죠.
무량판 구조의 단점?
- 소음과 진동 : 적절한 방음 디자인이 없을 경우, 층간소음이 다수 발생됩니다
- 추가 보강 필요 : 순살아파트의 보강공사만 하더라도 큰 단점이 될 수 있어요. 추가 보강이 필요하며 건축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
- 설계 복잡성 : 무량판 구조는 섬세한 설계와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한 만큼 이를 갖추지 않는다면 안전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죠.
순살 아파트 확인 방법
- 천장 구조 확인 : 지하 주차장을 통해 천장을 받쳐주는 보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요. 보가 있다면 무량판이 아닌 기둥식 구조일 가능성이 높아요.
- 부동산 정보 열람 : 부동산 정보 사이트에서 아파트의 주소로 건축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. 어떤 구조의 아파트인지 확인이 가능하지 않은 곳도 다수 있어서 정확한 확인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.
- 관리사무소 문의 : 건축 구조를 확인하려면 제일 빠른 확인인 관리사무소에 문의하거나 신축 아파트의 경우 분양 안내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
하지만 이슈 되는 만큼 무량판구조 아파트가 안정성이 떨어진다고만 할 수 없는데요.
무량판 구조가 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는 주장이 있지만, 실제로는 보가 없어도 무게를 적절하게 분산시켜 안전한 아파트를 만들 수도 있고 이미 건축된 무량판 구조의 아파트를 보더라도 문제없이 안전한 주거생활을 책임져주고 있기도 합니다.
이 말은 즉슨 무량판 구조로 아파트를 시공하는 것이 잘못됐다기보다 기술적인 전문가의 부재와 시공사들의 양심불량이 문제인 것은 아닌가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.
간단하게 우리 아파트가 순살아파트인지 확인하는 방법과 무량판 구조의 아파트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.
다들 이해가 되셨나요? 우리가 이를 이해하더라도 사실 소비자가 을이 될 수밖에 없는 분양 방식을 꼬집을 수밖에 없겠죠.
건축 구조는 중요한 주제이지만, 얼마나 성실하고 진실되게 아파트를 짓는지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.
부디 큰돈을 주고 아파트를 믿고 구입하는 사람들에게 안전한 아파트를 제공해주었으면 합니다!
그럼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 저는 다음 포스팅으로 찾아올게요!